학회소식         회원동정 News on Member

한, 리듬의 기록 [ K-Graphic, Archive of Rhythm

작성자 : 관리자
조회수 : 31




, 리듬의 기록

K-Graphic, Archive of Rhythm


□ 작가명: 장희목, 김현주

 전시기간: 2025. 10.09 - 10.23

 장소: 명동 아트브리즈





본 전시는 한국의 정체성을 이루어 온 리듬의 예술을 기념하는 자리입니다. 리듬은 장단이며 흔들림이자 찰나의 전환입니다.

한국의 예술, 디자인, 그리고 삶에 스며든 무늬와 장단은 반복을 넘어, 우리의 호흡과 자연의 순환, 그리고 공동체의 울림을 담아 왔습니다.

서울의 중심, 명동이라는 공간에서 전통과 현대가 서로 어우러지는 문화적 맥박의 정동(情動)'을 펼칩니다. 한국 전통의 모티브를 재료로 작가들의 숨길을 통해 수많은 분신을 빚어냅니다. 전통에서 추출한 조각들을 탈 전형적인 해체와 재구성이라는 실험대 위에서 새로운 조형으로 기록합니다.

 

The exhibition celebrates the art of rhythm, which has shaped Korea's identity. Rhythm is beat, a sway and a transition.

The patterns and long and short strokes that permeate Korean art, design, and life go beyond repetition to capture our breathing, the cycles of nature, and the echoes of community. In the heart of Seoul, Myeongdong, the cultural pulse of tradition and modernity melds together. Using traditional Korean motifs as materials, the artists create a myriad of alter egos. Fragments extracted from tradition are recorded as new compositions in a laboratory of atypical deconstruction and reconstruction.

 

 

< 작가 소개 >

장희목

서울대학교 디자인학부 시각디자인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고 현재 명지대학교 디지털콘텐츠디자인학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한식 산업의 세계화를 위한 아이덴티티 디자인과 기내식을 중심으로 새로운 식문화 서비스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디자인에 관한 연구를 하였다.

 

HEEMOK CHANG

Ph.D. in Visual Design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is currently a faculty member in the Department of Digital

Content Design at Myongji University.

Her research focuses on Identity Design for the Globalization of the Korean food industry and Communication design for New Food-culture services, particularly focused on In-flight Meals.

 

김현주

김현주는 영화와 그래픽 디자인, 미학을 공부했습니다.

독립출판사 [공프레스]를 통해 다양한 작업을 리미티드 에디션으로 출간하고 있으며 [프로젝트 살]에서 다양한 예술프로젝트로 협업을 하고 있습니다. 루브르 아트페어, 볼로냐 북페어, 중국과 대만, 싱가폴, 서울아트북페어 등 국내외 아트페어에 참여하고 있으며, 작품은 영국 Victoria and Albert MuseumaBook Museum에 소장되어 있습니다.

 

KIM HYUNZOO

Studied film, graphic design, and aesthetics.

She publishes a variety of limited editions through the independent publisher Gong Press and collaborates on various art projects with Project Sal.

She participates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art fairs, including the Louvre Art Fair, Bologna Book Fair, and the China, Taiwan, Singapore, and Seoul Art Book Fairs. Her work is held in the collections of the Victoria and Albert Museum and the aBook Museum in the UK.

 

 

<작품설명>

 

1. 리듬의 시작: 한식의 시각적 리듬

The Beginning of Rhythm: The Visual Rhythm of Korean Cuisine

섹션 초점: 한식의 정체성

Section Focus: The Identity of Korean Cuisine

 

본 작업은 한식 산업의 세계화를 위한 한식의 정체성을 연구하며 한국 문화유산의 폭이 얼마나 크고 깊은지 우리 문화의 가치를 인정하고 향유하는 의식구조에서 시작하였다.

디자인 모티브는 건() (), (), ()4괘에서 아이디어를 도입하였다. 대한민국을 상징하는 태극기에서 네 모서리에 그려진 건, , , 리의 4괘는 음과 양이 서로 변화하고 발전하는 모습을 양효와 음효의 조합으로 표현한 것이다. 4괘는 각각 하늘, , , 불을 나타내며 태극을 중심으로 통일의 조화를 이룬다는 의미가 있는데 한식은 음양의 조화로운 결정체인 고급음식으로 맛과 영양이 뛰어나고 시각적인 풍부함이 두드러진 꿈의 음식으로 한식의 정체성을 고찰하고 지키면서 특유의 차별성을 지닌 한식의 아이덴티티 디자인을 근간으로 발전시킨 패턴작업들이다.

 

This project began with an awareness of the vast breadth and profound depth of Korean cultural heritage, recognizing and appreciating the value of our culture while researching the identity of Korean cuisine for its globalization.

The design motif draws inspiration from the four trigrams: Qian (), Kun (), Kan (), and Li (). These trigrams, depicted at the four corners of the Taegeukgi flag symbolizing the Republic of Korea, express the transformation and development of yin and yang through the combination of yang and yin lines. Each trigram represents heaven, earth, water, and fire, signifying unified harmony centered around the Taegeuk. Korean cuisine, as a harmonious crystallization of yin and yang, is a premium culinary art distinguished by exceptional taste, nutrition, and striking visual richnessa dream food. These pattern designs evolved from the core identity of Korean cuisine, which contemplates and preserves its essence with contemporary expression.

 

2. 색동의 시각화: 자연과 전통 속에서

Visualization of Colorful Hanbok: Within Nature and Tradition

섹션 초점: 한복 직물 속 무늬의 움직임

Section Focus: The Movement of Patterns in Hanbok

 

보통 전통 색상을 현란한 원색으로 생각할 수 있지만 색동 전문가들은 색동은 알록달록한 원색이 아닌 채도가 한창 낮은 차분한 색상들이라고 한다. 우리 조상들은 천연염색으로 색동을 만들었는데 천연재료로 염색하면 선명한 원색이 나올 수 없고 이에 한복의 직물 속 패턴 문양을 입혀 가장 우리 고유의 전통색을 추출하고자 하였다.

디자인 철학은 은근과 끈기라고 할 수 있는데 그것은 한국의 아름다움은 절제와 깨끗함을 지닌 여백이 있는 은근한 아름다움이며 결코 화려하지 않지만 어딘지 모르게 좋아져서 볼수록 아름다움의 깊이가 더해지는 신비하고 우아한 미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한다.

 

While traditional colors might be thought of as dazzling primary hues, experts on saekdong explain that saekdong colors are not vibrant primary colors but rather subdued shades with very low saturation. Our ancestors created saekdong using natural dyeing techniques; since natural materials cannot produce vivid primary colors, they applied patterns within the hanbok fabric to extract the most authentic traditional Korean colors.

The design philosophy can be described as subtlety and persistence. It reflects the belief that Korea's beauty lies in a subtle elegance characterized by restraint and clean lines, with space for breathing room. It is never flashy, yet possesses a mysterious and graceful beauty that grows more appealing the more you look at it, revealing deeper layers of beauty.

 

3. 한복 웨이브: 반복이 차이로 진동하는 자리

Hanbok Wave: Where Repetition Vibrates into Difference

 

작업은 저고리의 구조에서 출발합니다. , . 곁마기, , 고름, 동정, 끝동 등 한복을 이루는 요소들이 분해되고, 반복적으로 직조되며 차이의 파동을 만들어냅니다.

매듭은 단순한 연결이 아닌, 흐름 속의 균열이자 전환의 순간입니다.

패턴은 미세하게 흔들리고, 그 사이에서 새로운 긴장과 운동이 태어납니다.

이 반복과 진동의 리듬 속에서, 보이지 않는 감각과 시간, 관계의 결이 드러납니다.

제가 추구하는 반복은 같음을 위한 것이 아니라.

차이를 발생시키는 방식입니다.

한복의 몸에서 시작된 파장은 형태와 전통, 현재의 사이를 진동하며 확장됩니다.

Drawing from the structure of jeogori, the traditional upper garment of the hanbok, this work deconstructs and reweaves its elementsgit, seop, goreum, and more-into repeated forms that ripple with variation.

Each knot marks not just a point of connec tion, but a moment of rupture where patterns tremble, shift, and give rise to new tensions and movements.

Through this rhythm of repetition and disruption, the work reveals the invisible threads of time, perception, and relation.

Repetition is not about sameness, but the emergence of difference. From hanbok's body, a wave expands across form, tradition, and now.

 

4. 한복 만다라

Hanbok Mandala

한복의 구조적 단위인 깃, , 고름, 동정, 끝동 등이 반복적으로 배치되고 회전하며 중심을 향해 직조됩니다. 만다라의 형식을 빌려, 전통의 형태가 원형의 리듬 속에서 해체되고 다시 배열되는 과정을 담았습니다.

이 반복은 단순한 대칭이 아닌, 조금씩 어긋나고 비틀리며 차이의 리듬을 만들어냅니다.

형태는 중심과 주변 사이를 오가며 긴장을 형성하고, 그 안에서 운동성, 감각의 진동, 시간의 겹침이 발생합니다. 한복 만다라는 전통 복식의 조형 언어가 내면의 사유와 감각의 흐름으로 확장되는 시각적 명상이자 움직이는 구조입니다.

Composed through the repetition of hanbok's elemental components - git, seop, goreum, dongjeong, kkeutdong - this work weaves and rotates them into a circular structure, drawing from the visual language of a mandala. Rather than static symmetry, the repetition unfolds with subtle displacements and shifts, generating a rhythm of difference. Forms circulate between center and periph-ery, creating tension, vibration, and motion. Here, tradition's visual grammar transforms into a meditative structure a space where sensation, memory, and form echo and evolve.

Hanbok Mandala becomes a visual meditation a moving structure where the body of tradition opens into fluid time and layered perception.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