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1 조[원고작성 방법]
-
제출용 원고는 아래한글(.hwp)로 작성하여 학회 홈페이지 (www.basic.or.kr)에 안내된 방법에 따라 접수 및 업로드 한다. (단, 제출용 원고가 외국어일 경우, 또는 해외에서 투고할 경우에만 워드(.docx)로 작성 할 수 있다)
- 원고가 외국어로 작성된 경우라도, 영문 및 국문 초록을 포함하여야 한다.
제 2 조 [원고의 분량]
'논문', '보고', '논설'은 표지, 제목, 저자이름, 소속, 한글 및 영문요약, 본문, 그림, 표, 각주, 그림설명 등을 포함하여 최소 12쪽으로 작성하고, 12쪽을 초과 할 경우는
짝수로 추가 가능하다. (예:14쪽, 16쪽)
제 3 조 [레이아웃 및 인쇄원고 작성]
-
크기 : A4 (210 x 297mm)
-
모든 텍스트는 1단, 기본여백으로 하고 모든 글자는 10포인트(자간, 자폭변형 하지 말 것), 한글과 영문 논문요약은 9포인트, 한컴바탕체로 작성
-
제목과 소속, 요약, 중심어는 반드시 한글과 영문으로 작성
-
영문제목에서 명사는 대문자로 시작, 부제는 소문자로 작성
-
저자가 복수일 경우, 제1저자, 제2저자, 제3저자...를 순서대로 나열
① 투고시 저자(주저자, 교신저자, 공동저자)를 명기해야 하고 변경할 수 없음.
② 교신저자는 맨 마지막에 기입하며 교신저자 이름 뒤에 교신저자 문구를 표기함.
(예: 홍길동(교신저자), 길동대학교)
③ 주저자와 교신저자가 동일인인 경우 첫 순서에 주저자 성명을 표기하고, 사사문구에 “주저자 및 교신저자”라고 명기
-
논문초록은 한글과 영문을 합하여 40줄 기준으로 작성하되, 반드시 국문초록은 15줄~18줄, 영문초록은 22줄~24줄 작성 (2021.04.16. 개정.)
-
중심어는 논문을 구성하는 중심어(Key Word)로 3개~5개까지 한글과 영문으로 작성
-
본문은 한글 또는 영문으로 작성하며, 문장은 표준 한글 맞춤법에 따라 작성
-
논문형식은 서론, 본론, 결론, 참고문헌 등은 명확히 구분하여 작성
-
본문내용의 표제(장, 절, 항 등)는 명확히 구분하여 표기. 큰 표제(장)가 바뀔 때는 1줄 띄어 다음 표제로 바꾸며 중간 표제(절)나 작은 표제(항)의 경우에는 띄지 않고 그대로 작성
-
외국어 및 한자는 원칙적으로 한글로 표기하고 뜻이 분명치 않을 때는 ( )안에 원어 또는 한자로 표기
-
각종 기호 및 단위의 표기는 국제 관용에 따름.
-
그림과 표는 본문내용 중에 흑백(Gray Scale)으로 작성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나, 심사원고에 한하여 컬러로 제출 가능
(2021.03.29. 개정.)
① 그림과 표에는 Figure 1, Figure 2-1, Table 1, Table 2-1과 같이 영문으로 번호, 제목, 출처를 기입함.
단, 출처(URL)가 긴 경우에는 제목 옆에, 원저작자, 단체 등을 기록하고, 참고문헌 다음에 도판목록을 추가하여 정확한 인용의 출처를 기입함.(2023.04.14. 개정.)
(예:<Figure1>Stimulus Material in the Experiment(제목), Bernstein, D. A., & Borkovec, T. D. (1973).
Progressive relaxation training. Research Press.(출처)
<Table1>Average Number of Reactions(제목), Jaquett, C. M.(2016). The effect of extra-credit incentives
on student submission. Scholarship of Teaching and Learning in Psychology, 2(1), 49–61.(출처))
② 모든 그림이나 표는 원고의 해당위치에 제시되어야 함.
③ 만약 사용하는 이미지가 저자의 독자적인 이미지가 아닐 경우, 출처를 표기해야 함.
④ 작품인 경우 "작가명, 작품제목, 제작연도, 매체, 작품크기(세로x가로)cm, 소장처" 순서로 작품 하단에 정보를 기입한다.
(2023.02.17. 개정.)
(예:<Figure1>Wasily Kandinsky, Improvisation, c.1914, watercolor, 35.6x44.8cm, Museum of Modern Art, New York.)
⑤ 출처(URL)가 긴 경우에는 참고문헌 다음 도판목록을 추가하여 도판목록에 정확한 인용의 출처를 기입 함.
(2023.02.17. 개정.)
(예:<Figure1>https://www.moma.org/collection/works/33718?sov_referrer=artist&artist_id=0&page=3 (accessed 2021. May 3))
-
참고문헌
① 참고문헌은 논문작성에 인용한 출처만 포함시키며, APA 양식에 따라 작성
② 참고문헌은 모두 로마자로 표기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며, 참고문헌의 순서는 단행본, 논문 등의 구분없이 첫 번째 저자의 성을
기준으로 알파벳순으로 배열함.
③ 국문저자의 경우에도 모두 영문으로 작성하는 것을 기본으로 함.
④ 한국어, 중국어, 일본어 등 로마자이외의 언어로 작성된 참고문헌의 경우에는, 원저작물에 로마자표기가 있는 경우에는 그것을
따르고, 연구자가 로마자로 번역하는 경우에는 말미에 괄호처리하여 원저작물의 저자, 제목, 출판사 등의 표기를 추가함.
-
학술대회발표논문, 석사 및 박사학위 논문을 투고 할 때는 사사문구와 함께 그 출전을 표기함.
(예: “이 논문은 ㅇㅇㅇ의 석사학위논문: ”…(참고문헌 표기방식)…“을 재정리한 것이다”
“ 이 논문은 0000년도 춘계 학술대회 발표논문: ”…(참고문헌 표기방식)…“을 바탕으로 연구한 결과이다”)
-
기타 세부사항은 미국심리학회의 논문작성규정(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7th edition)을 따르며, 학회의 ‘논문작성 가이드라인’과 ‘논문작성 템플릿’을 참조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