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빛, 생명의 선율> 성산효대학원대학교 교수 박현희 초대전
“한지의 생명선, 공간과 소리로 확장되다”
현대 미술을 선도하는 성산효대학원대학교 예술융합학과 교수 박현희 작가가 오는 9월 2일(화)부터 15일(월)까지 서울 인사동 보다 갤러리에서 초대전 《빛, 생명의 선율》을 개최한다. 전시는 ‘백색미학(White Aesthetics)’을 주제로, 전통 한지의 물성과 조형성을 기반으로 한 부조적 입체선을 통해 빛과 그림자, 존재와 부재 사이의 감각적 경계를 탐색한다.
백색미학은 한지의 여백과 결, 빛의 반사·산란이 빚어내는 미세한 변화에 주목하여, 절제와 호흡, 시간의 누적을 통해 깊이를 드러내려는 미학적 태도다.
박현희 작가는 천연 닥죽을 찢고 겹치고 덧입히는 조형 과정을 통해, 선이 단순한 윤곽이 아닌 시간·감정·기억의 흐름으로 구현되도록 입체화시켜 구성한다. 그 위에 도포된 백색 최상급 호분, 고급 석채, 금,은, 수정 가루 등의 재료는 고유의 결을 따라 흐르며, 조용하지만 깊은 생명의 리듬을 드러낸다. 특히 부드러운 색감의 다양한 색선을 곡선을 따라 은은하게 겹쳐 배치해, 백색 여백 속에 숨겨진 감각의 여운을 섬세하게 전달한다.
이번 전시의 핵심은 한지 부조 작품들과 더불어 공간과 소리, 빛이 호흡하듯 맞물리는 설치작품 〈백색의 탑—빛 조각〉, 그리고 사운드 〈빛의 파동, 생명의 음악〉의 연동이다. 천연 석채로 채색한 캔버스를 수직으로 적층한 탑 구조는 기단에서 정상까지 이어지는 상승의 리듬으로 반복과 축적의 미학을 가시화한다. 각 층은 빛의 입사각을 정교하게 조절해 캔버스들의 표면 요철이 만드는 음영의 미세한 변화를 극대화한다. 바닥에 산개한 작은 육면체 ‘빛 조각’은 밀도와 간격을 달리해 배치되어 중심(탑)–주변(파편)의 긴장을 형성하고, 반사·반투명광을 받아 공간 전반에 잔광(after-glow)처럼 미세한 흔적을 확산시킨다.
사운드 설치 〈빛의 파동, 생명의 음악〉은 앰비언트 사운드를 낮은 볼륨으로 끊김 없이 순환시켜, 따뜻한 바탕음 위에 느린 맥박과 섬세한 반짝임, 숨결 같은 질감을 겹침으로써 한지의 여백·호흡·잔광을 청각적 리듬으로 번역한다. 관람자는 작품 주변을 천천히 이동하며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 울림을 체감할 수 있다.
보다 갤러리 관장은 “박현희 작가의 작업은 ‘백색’이라는 미학적 언어를 통해 우리로 하여금 비어 있음의 깊이를 재고하게 한다. 한 장의 한지가 만들어 내는 미세한 굴곡과 그 속에서 열린 감각의 결은, 고요하지만 내면의 울림을 전한다”며, “화려함 대신 은은함으로 관객과 호흡하는 이번 전시는 한국적 미니멀리즘의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동시대적 감수성을 불러일으킨다”고 평했다.
이번 전시는 관객 참여형 섹션을 통해, 백색 여백 위에 각자의 감각과 감정을 담은 ‘선’을 체험하고 남기는 프로그램도 마련했다. 박 작가는 “백색은 비어 있음이 아니라, 감정을 품은 존재의 공간”임을 함께 나누고자 한다고 전했다.
최근 한국 미술계는 단색화의 계보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한국적 미니멀리즘이 재조명되며, 한지 기반의 조형작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박현희 작가의 작업은 백색미학과 사운드, 입체선을 결합한 독창적 조형언어로 한국 현대미술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다.
전시 정보
■ 전시명: 《빛, 생명의 선율》 박현희 초대 개인전
■ 소제목: 한지의 생명선, 공간과 소리로 확장되다
■ 기간: 2025. 9. 2(화) – 9. 15(월)
■ 장소: 인사동 보다 갤러리
■ 주요 작품:
〈빛, 생명 시리즈〉 (닥종이, 석채, 금가루, 수정가루 및 혼합재료)
〈백색의 탑—빛 조각〉 (혼합재료, 가변설치, 2025)
〈빛의 파동, 생명의 음악〉 (사운드 설치, Ambient, 3–5분 루프, 2025)
관객 참여형 워크숍: “백색의 기록” 9월 12일(금)
프로필
□ 조형예술학박사(Ph.D)
□ 개인전 30여회, 그룹 및 기획전 500회 이상
□ 작품소장: 법무법인 한별 외 다수 법무법인
□ 현재_ 성산효대학원대학교 예술융합학과 전임교수, 국제문화예술융합학회 회장, 미래융합포럼위원회 위원장, 한중미협 위원장, 이원형어워드 심사위원장
□ 연구실 주소_ 인천광역시 남동구 석정로 543 성산효대학원대학교 609호
□ 연구실 번호_ 070 4361 7718